※ 아래 글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가 발간하는 주간기술동향 1800호(2017. 6. 14 발행)에 기고한 원고입니다.


▶ IITP에서 PDF 포맷으로 퍼블리싱한 파일을 첨부합니다. 가독성이 좋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수탁생산 넘어 자율운전과 IoT 겨냥_베트남 최대 IT기업 FPT의 도전.pdf



[ 요 약 ]


베트남 정부와 IT업계는 최근 IT 전문인력의 수를 2020년까지 현재의 두 배 수준인 60만 명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였음이는 그 동안 내수 중심이라는 특성이 강했던 베트남의 IT 산업이 최근 자유무역권 편입을 계기로 선진국의 해외 IT 위탁생산 수주를 늘려 이 분야에서 인도와 경쟁하려는 포석으로 해석되고 있음이런 움직임의 중심에 베트남 최대 ICT 기업인 FPT가 있으며, FPT는 수탁생산 거점 건설에 그치지 않고 자율주행차, IoT 등 미래 성장동력에도 적극 투자하고 있음



[ 본 문 ]


ž 베트남 정부와 IT업계는 최근 자유무역권 확대에 즈음하여 현재 약 30만 명인 IT 전문인력을 2020년까지 60만 명으로 확대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하였음


Ø 계획을 주도하는 곳은 베트남의 과학기술부, 교육·훈련성과 IT업계 단체인 베트남·소프트웨어 어소시에이션(VINASA)으로 정부와 민간이 거국적으로 IT 분야의 경쟁력 강화에 나서는 모양새


Ø 베트남이 IT 인력 양성에 힘을 모으는 배경에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발효, 아세안 경제공동체 편입 등의 호조건을 맞아, 미국과 일본 등으로부터 해외 IT 위탁생산(오프쇼어) 수주를 확대하겠다는 전략이 자리잡고 있다는 분석


Ø 베트남은 작년 10월 미국, 일본, 호주 등 총 12개국이 참여한 TPP에 합의한 바 있는데, 비록 트럼프 당선 이후 올해 1월 미국이 TPP 즉각 탈퇴를 선언해 향후 전망이 불투명해진 면이 있지만, 셰계은행이 오는 2030년까지 TPP 가 베트남의 국내총생산(GDP) 10% 증가시킬 것으로 내다보고 있을 만큼 베트남은 TPP의 최대 수혜자로 꼽히고 있음


Ø 또한 베트남은 작년 연말 아세안 경제공동체(AEC)에도 편입되었으며, 미국의 TPP 탈퇴 직후에는 중국 주도의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에도 적극 참여 의지를 나타내는 등 자유무역권 확대를 통한 외국과의 교역 증대를 국가 성장 전략으로 설정하고 있음


Ø IT 분야도 해외로부터 위탁 수주를 높인다는 전략이나, 300만 명 이상의 IT 전문인력 풀을 통해 전세계에 인재를 공급하는 중국과 인도에 비해 베트남의 IT 기술인력은 그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한 수준이기 때문에 인력 풀을 확대하는 것이 최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임


Ø 베트남 정부와 기업들은 기초부터 다져 전문인력을 육성하는 것은 당장의 성과를 내기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베트남은은 수학과 물리학을 전공한 인력을 IT 기술인력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통해 단기간에 인원 확대를 도모한다는 계획임



Ø 베트남은 이미 대학 졸업자가 IT 전문대학이나 단기 대학에 재입학을 지원하고 IT 기업에 지원할 경우 취업에 인센티브를 주는 프로그램을 시작했는데, 오는 10월에 이 프로그램의 1기생들이 취업 시즌을 맞이하게 됨


Ø 또한 해외 현지 파견 전문 엔지니어 양성을 위한 브릿지 SE(시스템 엔지니어) 육성 계획도 실행 중인데, 이는 외국 유학까지 포함한 프로그램으로 특정 국가 맞춤형 인력 양성 계획임



<
자료> ITPro

[그림 1] 해외 진출 엔지니어 육성계획 1기 유학생


ž 베트남 IT 인력 강화 전략의 중심에는 해외 수주를 늘리면서 아시아 내 수탁제조 거점 구축을 위해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베트남 최대 ICT업체인 FPT가 있음


Ø 1988년 설립된 FPT는 기업용 소프트웨어, 인터넷 통신, 휴대전화 등 IT 기기 소매 판매, 시스템 수탁 개발 외에도 광고 산업 등을 총망라하는 종합 ICT 기업으로 베트남 경제를 이끄는 주역이며, 베트남의 50대 기업에 기술 분야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이름을 올리고 있음


Ø FPT는 내수시장 의존도가 높다는 이미지를 갖고 있었으나 지난 2015년 미얀마 통신 당국으로부터 향후 15년간 진행될 인터넷 기반시설 사업자로 승인 받으면서 전기를 마련하였음


Ø 이러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FPT는 베트남의 자유무역권 확대 흐름을 맞아 해외 수주를 늘리면서 인도를 넘어선다는 목표 아래 아시아 내 수탁제조 거점 구축을 서두르고 있음


Ø FPT2016 4월 베트남 제3의 도시 다낭에 베트남 중부 최대 IT 거점인 FPT 복합단지(FPT Complex)를 구축하였는데, 현재 이 곳에는 2천 명의 엔지니어가 상주하고 있으며 FPT2020년까지 인력 규모를 1만 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임


Ø FPT가 다낭에 대규모 IT 거점 시설을 구축한 이유는 비용효율적인 인력 수급 때문인데, 다낭의 기본급은 월 약 300 달러 수준으로 하노이나 호치민보다 20~30% 낮은 편이나, 100만 명의 인구와 다낭 공과대학 등 유명 대학이 있어 양질의 IT 인재 확보가 수월함


<자료> Vietnam Real Estate Report


[그림 2] 다낭 FPT 콤플렉스 조감도


Ø 현재 아시아의 IT 부문 수탁 시장에서 베트남의 존재는 미약한 상태로, 2015년 말 기준 베트남의 해외 수주액은 30억 달러로 인도(980억 달러), 필리핀(213억 달러)과 큰 차이가 있음


Ø 그러나 FPT는 대규모 수탁 개발 거점 건설과 2020년까지 거점 엔지니어를 1만 명 확충을 바탕으로 IT 서비스의 해외 수주액을 현재보다 최대 5배 이상 늘려 인도를 추격하겠다는 방침


Ø FPT 2016년 매출은 18억 달러, 직원 수는 2 8천명 이상이며, 현재 전세계 21개 국에 진출해 있고, FPT의 쯔엉자빙 회장은 구소련 모스크바 국립대학에서 수학·컴퓨터를 전공했고 엔지니어 육성을 위해 FPT대학을 설립하는 등 베트남의 빌 게이츠로 불리는 인물임


ž FPT의 단기 사업전략은 수탁 제조 거점 마련에 있지만, 쯔엉자빙 회장은 이에 그치지 않고 디지털 변혁(Digital Transformation)을 중장기 사업방향으로 설정하고 있음



<자료> FPT Corporation


[그림 3] FPT의 미래 사업 방향


Ø 베트남은 그 동안 오프쇼어(off-shore, 해외 수탁)에 주력한다는 인상이 강했지만, 쯔엉자빙은 세계 전체가 디지털로 전환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앞으로 15년을 결정할 사업 영역으로 보고 이 분야에 대한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음


Ø FPT는 미래의 사업 방향을 S.M.A.C 4가지로 설정하고 있는데, 각각 Social(소셜), Mobile(모바일), Analytics(빅데이터 분석), Cloud(클라우드)를 의미함


Ø FPT의 자회사인 FPT 소프트웨어의 경우 2016년 매출의 28%를 디지털 변혁 관련 아젠다가 차지하고 있는데, 쯔엉자빙에 따르면 인도의 IT 산업은 2020년에나 이 정도 비율을 달성할 것으로 보여, 디지털 변혁 영역에서는 베트남이 인도에 선행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함


Ø FPT 소프트웨어는 구체적으로 IoT(사물인터넷)와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최신 기술에 대한 투자메인프레임의 오픈화라는 두 분야에 주력하고 있는데, 최신 기술을 따라잡으면서도 디지털화의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메인프레임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을 고객과 함께 추진한다는 전략임


ž 최신 기술 투자와 메인프레임 오픈화 모두 상당 규모의 인력을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FPT는 이 두 분야의 인재 육성과 확보도 최우선 과제의 하나로 추진하고 있음


Ø FPT는 현재 IoT를 전문으로 하는 엔지니어를 1천명 정도 확보하고 있는데 최신 기술 캐치업을 위해 이를 조기에 1만 명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며, 이 분야 기술자를 새로 키우는 것뿐 아니라 기존의 기술자들이 IoT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고 있음


Ø 특히 IoT를 지원하는 플랫폼에 정통한 엔지니어의 확충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제네럴 일렉트릭(GE)프리딕스(Predix) 관련 자격 보유자를 현재 60명에서 500명으로 늘릴 계획임


Ø 클라우드 사업 역시 도약을 준비 중인데, FPT 소프트웨어는 2011년에 클라우드 서비스 센터라는 R&D 조직을 설치한 것을 시작으로 AWS(아마존웹서비스)Microsoft Azure(마이크로소프트 애저) 전문 엔지니어를 계속해서 확충해 오고 있음


Ø 2016년 초에 이미 1천명 규모의 클라우드 엔지니어를 확보해 클라우드 관련 오프쇼어 개발을 수탁하고 있는데, AWS 자격 보유자 현재 263명을 500명으로 늘리는 등 클라우드 전문인력은 앞으로도 계속 확충한다는 계획임


Ø 최신 기술에 대한 투자 못지 않게 방점을 두는 것이 메인프레임의 오픈화인데, 전세계의 대기업에는 아직도 메인프레임이 남아 있고 심지어 코볼에서 실행되는 시스템도 적지 않아 FPT는 메인프레임 오픈화 및 클라우드화를 추진하는 고객의 파트너로서 지원을 특화하고 있음


Ø 메인프레임 오픈화의 과정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기술적으로 쉽지 않은데, 오래된 시스템은 설계서 등 다큐먼트가 남아 있지 않는 경우가 많아 엔지니어가 소스코드를 한 줄씩 읽어 내용을 파악해야 하므로 이러한 작업에도 역시 엄청난 인력이 필요함


ž FPT는 최신 기술 중에서도 특히 자율운전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를 활발히 진행 중인데, 2020년경에 연간 2억 달러의 비즈니스로 키워 낸다는 사업목표를 세우고 있음


Ø FPT 소프트웨어는 오프쇼어를 주축으로 성장을 계속하고 있으며 둔화의 조짐은 보이지 않지만 이에 만족하지 않고 최신 기술 기반 사업을 성장 동력으로 삼기 위한 기어를 올리기 시작했는데, 특히 자율운전을 미래의 FPT를 지탱할 중요한 사업 분야로 보고 있음


Ø FPT 소프트웨어는 20161천명의 엔지니어가 참여하는 자율운전 R&D 조직을 신설한 이래 ADAS(첨단 운전자 지원시스템)의 개발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2019년에 상용화할 예정임


Ø FPT는 아직 정확히 밝힐 수 없지만 미국, 일본, 한국의 자동차 제조사와 제휴를 맺고 시스템 개발을 추진 중이라고 하는데, 아시아에서 생산되는 신형 모델에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고 하며, 자율주행 비즈니스 첫해인 2020년에 연간 2억 달러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음


Ø FPT는 최근 자율주행 차량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했는데, 일반 자동차에 비해 크기는 작지만 고성능 카메라와 센서를 장착시켜360도 감시가 가능하며, 장애물과 차선 등을 자동으로 감지, 컴퓨터의 판단으로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음


Ø FPT는 오는 10월에 하노이에 있는 R&D 거점인 호아 락(Hoa Lac) 하이테크 파크에서 직원의 이동 지원 목적으로 자율운전 자동차를 주행시킬 계획을 가지고 있음


Ø FPT는 자율주행 차량을 자신들이 지향하는 미래상을 보여주는 상징이라 말하는데, 첨단기술에 적극적이라는 기업 이미지를 심고, 기술 발전을 뒷받침할 우수 ICT 기술 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상징이라는 것


<자료> FPT Tech Insight

[그림 4] 자율주행 기술 시연


Ø 자율주행 차량을 본사 안에서 운행하는 것에도 다른 분야 개발자들이 자율주행 기술에 관심을 갖게 함으로써 전사적 변화 동력을 강화하려는 쯔엉자빙 회장의 뜻이 반영되어 있음


Ø FPT는 외부 전문가의 채용에도 주력하고 있는데, 올해 4월에는 자동차 기술과 로봇 관련 컨퍼런스를 개최하여 많은 엔지니어와 학생을 모았고, AI 및 자율운전에 관한 응용프로그램 개발 콘테스트를 개최했는데 145개 팀이 참가할 만큼 성황을 이루었다고 함


ž FPT는 자율주행 외에, 현재 인텔과의 협업 추진을 통해 의료, 방범, 전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업의 미래를 위한 첨단 ICT 기술 기반의 성장 동력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Ø 자율주행 다음으로 이어지는 분야는 의료인데, FPT는 현재 E Hospital!이라는 프로젝트 명으로 진료 기록 및 의료 기술의 신속한 공유, 환자의 대기 시간 단축, 신속한 결제 등 의료 서비스의 품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모든 사안을 연구하고 있음


Ø FPT는 현재 베트남 내 3곳의 병원과 실증 시험에 착수해 있으며, 그 효과를 검증한 뒤 본격적으로 모든 병원에 도입을 제안해 나갈 계획임


Ø 도시 기능 관련 사업도 주목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분야는 지능형교통시스템(ITS)으로 FPT는 자회사인 FIS를 통해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 하노이시는 FIS가 제출한 4단계 ITS 구축프로젝트를 승인하였고 올해 6월부터 12월까지 1단계 작업이 진행됨


Ø FIS의 지능형교통시스템은 제어 센터, 트래픽 제어 시스템, 트래픽 모니터링과 정보 수집 시스템, 트래픽 업데이트 시스템, 안전과 보안 시스템, 긴급상황 제어 시스템, 운송 인프라 관리 시스템 등으로 구성됨


Ø 이 밖에도 자동차 번호판의 자동 인식이나 효율적인 물자 운송 등의 연구를 추진하고 있는데, 이러한 사업은 방범에도 도움이 되고,배출 가스를 감소시켜 환경 보호로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ž 인구 감소와 ICT 인력 감소를 겪고 있는 선진국과 달리, 청년 인구가 증가하고 기술 인력 양성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는 베트남이 전세계 ICT 시장의 다크호스로 급부상하고 있음


Ø 하노이와 호치민에 있는 FPT 대학에서는 IT 교육뿐만 아니라, 세상의 어떠한 것들이 IT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또 이러한 것들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관점에서 loT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인재 육성을 강화해나가고 있음


Ø 베트남 정부와 베트남 최대 ICT 기업인 FPT는 저임금 인건비를 강점으로 한 시스템 개발 파트너에서 고도의 기술력을 살린 디지털 변혁의 파트너가 되겠다는 야심찬 계획 하에 우수 ICT 인력 양성을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음


Ø 이는 선진국과는 정반대의 현상으로, 가령 일본의 경우는 2015년 말 현재 약 17만 명의 IT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며, 가뜩이나 일본 자체의 IT 인력은 2019년 이후 감소세에 접어들 것으로 보여 2030년경에는 IT 부족 인력이 총 59만 명으로 늘어날 전망임


Ø 한국도 IT 업종이 3D 직종으로 인식되며 엔지니어의 수가 줄어드는 추세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베트남 IT 인력과 교류 강화도 해결책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임


Ø 베트남의 인건비가 상승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아직 중국의 주요 도시에 비해 20~30% 낮은 수준이고 엔지니어들의 기술 수준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베트남 정부와 FPT의 구상대로 베트남이 전세계 lCT 시장에서 중국, 인도를 넘어 우위에 설 가능성은 충분함


Ø IoT와 인공지능의 혁명이 몰아 치려 하는 현재 상황에 표류하지 않고 변화의 태풍에 정면으로 맞서 기회로 삼고자 하는 베트남의 ICT는 환골탈태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으며, 향후 글로벌 ICT 시장에서 얼마나 빠르게 존재감을 높여 갈 지 관심이 모이고 있음

※ 아래 글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가 발간하는 주간기술동향 1800호(2017. 6. 14 발행)에 기고한 원고입니다.


▶ IITP에서 PDF 포맷으로 퍼블리싱한 파일을 첨부합니다. 가독성이 좋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시스코_디지털 변혁으로 인해 3년 내 상위기업 40% 도태 예측.pdf



ž 시스코 시스템즈는 디지털 변혁(Digital Transformation)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주제로 개최한 포럼에서, 현재 사위 10개 기업 중 4개가 3년 내 도태될 것이라 예측


Ø 시스코는 스위스 비즈니스 스쿨 인 IMD와 공동으로 이번 포럼을 개최하고,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관한 연구 결과 발표와 기업 경영진을 위한 워크숍을 진행하였음

Digital Business Transformation Framework.pdf



Ø 시스코는 디지털 변혁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며 디지털 파괴적 혁신자(Disruptor)와 기업 경영진의 의식에 대해 조사를 실시했는데, 응답자들은 기존 상위 10개 기업 중 4개는 도태될 것이며, 이러한 파괴가 벌어질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3으로 내다보고 있음


Ø 조사 결과 기존 기업의 41%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실제적인 위협으로 인지하고 있지만,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곳은 2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음


Ø 시스코와 IMD는 이러한 디지털 변혁을 디지털 보텍스(Digital Vortex)라고 표현하는데, 보텍스는 소용돌이라는 뜻으로 일단 휘말리게 된다면 중심으로 말려 들어가 부숴진다는 의미를 상징적으로 담고 있음

digital-vortex-report.pdf



Ø 디지털로 수렴하면서 가치 사슬로 통합되어 있던 것들이 떨어져 나가면서 소용돌이의 중심에서는 변화의 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지고 결국에는 무질서하게 되는데, 시스코는 이런 혼돈 상황은 예측이 불가능하므로 대응의 민첩성이 중요하다고 설명함


ž 기존 기업들의 존속에 위협을 가져 올 파괴적 혁신자(Disruptor)들에 대해서는 3가지 측면의 가치를 제공을 통해 전혀 새로운 사업모델을 추진한다는 점을 특징으로 꼽았음


Ø 디지털 디스럽터들은 낮은 가격으로 고객을 끌어들이는 가격의 가치, 편리함으로 고객을 끌어들이는 경험의 가치, 생태계의 창출이라는 플랫폼의 가치를 제공하고 있음


Ø 디스럽터들은 세 가지 가치를 기반으로 크게 15가지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이며 경쟁 지형을 바꾸고 있는데, 가격과 차별화 측면의 경쟁에 비해 특히 플랫폼 측면의 경쟁은 변화의 속도도 빠른 데다 근본적인 깊은 영향을 미침


Ø 디스럽터는 한 분야에만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닌데, 우버 테크놀로지는 운수, 물류 영역에서 택시 업계에 강력한 디지털 디스럽터인 반면, 아마존닷컴은 미디어/엔터테인먼트, 기술 제품/서비스, 유통, 금융, 통신, 소비재, 제조, 운수/물류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디지털 디스럽터임

Disruptor-and-Disrupted.pdf



ž 시스코는 디지털 디스럽터들이 보여주고 있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해 필요한 능력을 감지-의사결정-실행의 세 가지로 설명하였음


<자료> Cisco Systems


[그림 1] 디지털 비즈니스 민첩성을 위한 3가지 역량


Ø 디지털 디스럽터의 최대 강점인 민첩성은 3개의 조직적인 역량이 기본으로 뒷받침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데, 3가지 능력은 시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초민감(hyper-awareness) 능력과 주어진 상황에서 최적의 결정을 내리는 정보에 근거한 의사 결정(Informed Decision-Making) 능력, 그리고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계획을 이행하는 빠른 실행(Fast Execution) 능력임


Ø 시스코에 따르면 이 세가지 조직 역량은 어떤 기업이든 키울 수 있는 것으로, 스타트업 뿐만 아니라 기존 기업들도 민첩성을 확보함으로써 혁신을 일으킬 수 있다며 세가지 역량에 대한 실제 사례를 들어 설명하였음


Ø 초민감(하이퍼 어웨어니스)의 예로 든 것은 스포츠 용품업체인 언더 아머(Under Armour)로 경쟁이 치열한 스포츠 의류 시장에서 우위를 구축하기 위해 피트니스 앱인 마이피트니스팰(MyFitnessPal)을 도입해 의류 및 신발에 부착한 센서에서 데이터를 모아 고객의 건강 상태를 추적 할 수 있도록 하였음


Ø 정보에 근거한 의사 결정의 예는 프랑스 다쏘 시스템(Dassault Système)으로 3D 설계, 분석 및 시뮬레이션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이 기업은 심장 외과 치료를 위해 환자 심장의 디지털 트윈(디지털 모형)을 만드는 솔루션을 개발하였음


Ø 심장 외과의는 이 디지털 트윈으로 치료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어 환자에 가장 적합한 시술 방법을 정보에 근거해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게 됨


Ø 빠른 실행의 예로는 에어버스를 꼽았는데, 항공기의 디자인을 실시하는데 생체 세포를 모방 한 구조로 설계하는 알고리즘을 채택하고 그 디자인을 3D 프린터로 빠르게 구현하였음


Ø 이를 통해 에어버스는 지금까지 수 주가 걸리던 테스트를 몇 시간 만에 실행할 수 있게 되었으며, 수정이 쉬워 여러 디자인을 시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50%의 경량화도 실현하였음


Ø 이 밖에도 시스코는 스마트 배지로 콜 센터의 이직률을 개선한 뱅크 오브 아메리카(BOA), 스마트 글래스로 창고 내 동선 프로세스를 개선한 DHL 등도 디지털 변혁의 사례로 꼽았음


ž 시스코는 디지털 변혁이 모든 산업에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어떤 기업이든 변화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라며, 디스럽터들의 15가지 비즈니스 모델을 참고해야 한다고 조언

New-Paths-to-Customer-Value-Disruptive-Business-Models-in-the-Digital-Vortex.pdf



Ø 디지털 디스럽터는 새로운 유형의 경쟁방식을 만들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전문가들이므로, 기존 기업들이 이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디스럽터들이 보여주고 있는 3가지 가치 기반의 15개 비즈니스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강조


Ø 15개 비즈니스 모델은 가격 가치, 경험 가치, 플랫폼 가치에 각각 대응하는데, 가격 가치에 기반한 비즈니스 모델로는, 무료/초저가격, 공동 구매, 가격 투명성, 역경매, 소비 기반 가격 설정 5가지가 있음


Ø 경험의 가치를 기반으로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은 고객중심주의, 맞춤화, 즉각적인 만족감, 마찰 회피, 자동화 5가지가 있음


Ø 플랫폼의 가치를 기반으로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은 에코시스템, 크라우드소싱, 커뮤니티, 마켓플레이스, 데이터 오케스트레이터 5가지가 있음


Ø 시스코는 기존 기업에서 디지털의 파괴적 혁신에 대한 대응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는 이유로 경영진이 CIO IT 부서와 분리되어 있다는 점을 꼽았음


<자료> Cisco Systems


[그림 2] 디지털 보텍스에 대한 경영진의 반응


Ø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어떻게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면 좋은 것인지를 이해하는 사람이 경영진에 없는 것이 문제이며, 경영과 기술의 양자를 결합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

※ 아래 글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가 발간하는 주간기술동향 1799호(2017. 6. 7 발행)에 기고한 원고입니다.


▶ IITP에서 PDF 포맷으로 퍼블리싱한 파일을 첨부합니다. 가독성이 좋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I가 AI를 개발한다, 구글의 전사 인공지능 프로젝트 Google ai.pdf



[ 요 약 ]


작년 11인공지능 퍼스트(AI First) 기업을 선언했던 구글의 선다 피차이 CEO는 올해 구글 I/O 컨퍼런스에서 그간의 성과를 설명하며 인공지능을 구글의 모든 제품과 서비스의 기반으로 삼는다는 전략 하에 Googl.ai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 Google.ai의 연구 테마에는 사람이 아닌 인공지능이 인공지능의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AutoML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구글의 제품을 개선하고 인공지능 연산 처리를 위한 새로운 데이터센터를 구축한다는 계획


[ 본 문 ]

ž구글은 최근 개최된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Google I/O 2017’에서, 전사 차원의 인공지능(AI) 전략으로 ‘Google.ai’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라고 공개


Ø 작년 11월 제품 발표회에서 인공지능 최우선(AI First) 기업을 선언한 바 있는 선다 피차이 CEO는 올해 I/O 컨퍼런스 기조연설에서 전사 차원의 AI 전략을 실행 중에 있다고 밝히며 프로젝트의 세부사항에 대해 발표하였음  구글은 최근 개최된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Google I/O 2017에서, 전사 차원의 인공지능(AI) 전략으로 Google.ai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라고 공개

<자료> Engadget


[그림 1] Goolge.ai를 발표하는 선다 피차이 CEO


Ø 현재 진행 중인 전사 프로젝트의 명칭은 Google.ai로 고도의 AI를 개발하고 이를 구글의 모든 제품과 서비스의 기반 기술로 삼는다는 전략을 구현한 것임


Ø 진행 중인 Google.ai 프로젝트는 「기초연구」, 「도구」, 「응용기술」의 세 분야로 구성되어 있는데, 기초 연구는 고도의 AI 기술의 개발을, 도구는 AI를 실행하는 프로세서 등에 기반한 AI 데이터 센터의 제공을, 응용기술은 AI를 통한 구글 서비스의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음


ž 「기초연구」 분야에서 구글이 주목하고 있는 연구 테마는 AutoML인데, 이는 AI AI를 생성하는 기술의 개발을 통해 알고리즘 개발 임무를 인간에서 AI로 이관하려는 것임


Ø AutoML은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자동 생성하는 연구, 다시 말해 알고리즘이 다른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기법을 개발하는 것으로 [그림 2]AI AI를 생성하는 것을 보여주는데, 왼쪽이 인간이 만든 AI 알고리즘이며 오른쪽은 그 AI가 만들어 낸 딥러닝 알고리즘임


Ø [그림 2]의 사례는 처리 결과를 다음 단계로 루프시키는 반복(Recurrent) 구조의 네트워크로 시간에 의존하는 언어처리 등에 따라 언어 처리 등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 알고리즘에 한 단어를 입력하면 다음 단어를 예측해 줌


<자료> Google Research Blog


[그림 2] 사람과 인공지능이 설계한 기계학습 알고리즘 아키텍처 비교


Ø AI가 생성한 알고리즘 아키텍처를 보면 사람이 설계한 것과 동일한 특징을 공유하기도 하지만, 증식적인 조합을 구현하기 위해 새로운 엘리먼트를 구사하는 것처럼 주목할 만한 차이를 보이는데 이런 방식은 사람이라면 반복 구조의 네트워크에서 대개는 사용하지 않는 것임


Ø 보통 알고리즘의 개발 연구자의 경험과 감이 크게 작용하며, 기존에 확립된 기술을 기반으로 개선점을 찾아 새로운 모델을 생성하게 됨


Ø 반면 AI는 수 많은 알고리즘을 생성하고 이들의 실제 학습 수행 정도를 파악하는 방법, 즉 피드백을 바탕으로 정확한 알고리즘을 만드는 방법을 학습함


Ø 인간은 소위 정석이라 불리는 것들을 축적하지만, AI는 때로 사람이 생각하기에 상식을 뒤집는 방식을 생성하는데, 선다 피차이 CEO의 설명에 따르면 인간이 생성한 알고리즘보다 AI 생성한 알고리즘의 정밀도가 더 높다고 함


Ø AutoML는 구글의 딥러닝 AI 리서치 센터인 구글 브레인(Google Brain)에서 연구 중이며 AI가 최적의 네트워크 구성을 자동으로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이는 딥러닝 알고리즘 설계의 임무를 연구원에서 AI로 이관시킴을 의미함


Ø 이는 어찌 보면 AI 연구자 자신도 AI의 진화로 인해 일자리를 잃게 됨을 의미하나, 현재는 AI 연구자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AutoML은 인력 부족을 해소하는 수단이 되며, 구글은 AI로 대체 가능한 연구인력을 AI 클라우드 개발로 돌려 관련 사업을 강화한다는 계획임


ž 「도구」 분야와 관련해서는 대규모 연산을 위한 확장성에 초점을 맞춘 인공지능용 프로세서로 Cloud TPU를 발표하였음


Ø TPU(Tensor Processing Unit)는 기계학습 연산 전용 프로세서인데, 텐서(Tensor) Trillion Sensor의 합성어로 향후 전세계가 수조 개의 센서들을 연결될 것이란 뜻을 담고 있음


Ø Cloud TPU 2세대 TPU로서 대규모 연산을 위한 확장성을 중시한 설계로 되어 있으며, 성능은 180Tflops(테라플롭스)64GB의 고속 메모리를 탑재한다고 함


Ø 플롭스(FLOPS, FLoating point OPerations per Second)는 컴퓨터의 성능을 수치로 나타내는 단위로 1초 동안 수행할 수 있는 부동소수점 연산의 횟수를 의미하며, 테라플롭스는 1초에 1조 번(1012) 연산 처리가 가능하다는 뜻


Ø 64개의 Cloud TPU가 보드에 탑재되면 TPU 파드(Pods)를 구성하게 되는데, 파드의 최대 성능은 11.5 Pflops(페타플롭스, 테라플롭스의 1천 배)로 이는 수퍼 컴퓨터 수준의 성능임



<자료> Engadget


[그림 3] 인공지능용 프로세서 Cloud TPU() AI 퍼스트 데이터센터(아래)


Ø TPU 파드는 랙에 탑재되어 구글 연산 엔진(Google Compute Engine)으로 제공될 것이며, 구글은 Cloud TPU를 이용한 AI 처리 전용 데이터 센터를 구축할 계획인데, 이를 AI 최우선 데이터센터(AI First Datacenter)라 부르고 있음


Ø Cloud TPU 발표와 동시에 구글은 텐서플로우 리서치 클라우드(TensorFlow Research Cloud)를 발표했는데, 이는 Cloud TPU 1천 개 연결한 연구자들을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로 고도의 AI 기술 개발을 위해 무상으로 제공한다고 함


ž 「응용기술」 분야와 관련해서는 인공지능을 카메라에 응용한 신제품 구글 렌즈(Google Lens)를 적용 사례로 소개하였음


Ø 구글 렌즈는 카메라의 렌즈를 AI로 구성한다는 아이디어로, 카메라의 기능과 성능을 AI 소프트웨어가 결정한다는 뜻이며, 사진 촬영을 시작하면 카메라가 AI를 이용해 이미지를 재구성함


<자료> Google.ai


[그림 4] 카메라에 AI를 결합한 구글 렌즈


Ø 가령 [그림 4]처럼 야간 촬영 시 이미지에 노이즈가 있을 경우 AI가 이를 보정하는데, 셔터를 누르면 카메라가 자동으로 여러 차례(16, 32회 등) 빛에 노출시킨 후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을 반복하게 됨


Ø 또한 철조망 뒤에서 사진을 찍을 경우 AI가 자동으로 철조망을 제거하는 이미지 인페인팅(Image Inpainting) 기능도 갖추고 있음


Ø 구글 렌즈는 카메라에 비친 객체를 판정하는 기능이 있어, 가령 꽃 촬영에 구글 렌즈 기능을 선택하면 꽃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식별하고, 길거리 상점을 촬영하면 그 간판의 이름을 인식한 후 관련된 정보를 함께 표시해 줌


Ø 즉 카메라가 이미지 검색의 입력 장치가 되는 것으로 이는 구글 고글(Google Goggles) 등에서 이미 제공되는 기능이지만, AI를 이용하여 그 기능성과 인식 정확도를 향상시켰음


ž 드러나 보이지 않는 곳에서 AI를 이용해 구글의 서비스를 폭넓게 지원하는 응용 사례로는 구글 지도와 지메일을 소개하였음


Ø 카메라의 이미지 인식 기능을 AI와 접목하는 기술은 구글 스트리트 뷰(Street View)와 구글 지도(Google Maps)에도 적용되어 활용되고 있음


Ø 스트리트 뷰는 촬영된 이미지에서 건물에 부착되어 있는 숫자를 읽어 식별할 수 있었는데, 지금은 AI가 숫자뿐만 아니라 거리의 이름도 읽어 정확히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음


Ø 표지판이 선명하게 찍혀 있지 않은 경우라도 샘플이 네 장 AI가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고 하는데, 구글은 이 기술을 스트리트 뷰로 촬영한 800억 장의 이미지에 적용하여 위치를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구글 지도의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켰다고 함


Ø 이미지 인식 기능의 활용은 와이파이 접속에도 이용할 수 있는데, 스마트폰으로 와이파이 네트워크 이름과 패스워드를 스캔하면 자동으로 와이파이에 연결하도록 도와줄 수 있음


Ø 스마트 회신(Smart Reply) 기능이 탑재된 지메일 역시 AI의 지원으로 구글 서비스 편의성을 강화한 대표적 사례인데, AI는 수신한 메일의 제목과 내용을 파악하여 이용자를 대신해 최적의 회신 문장을 생성한 다음 이용자에게 제시함


Ø 이용자는 AI가 제시한 세 개의 회신 문장 중에서 가장 낫다고 생각하는 하나를 클릭하는 것만으로 메일 회신을 할 수 있는데, 스마트 회신 기능이 등장한 지는 1년이 넘었으며 지금은 다소 복잡한 내용의 메일에도 회신 문장을 생성할 수 있는 수준이 되었음




<자료> Engadget


[그림 5] 인공지능 활용한 이미지 인식 기능 개선()과 이메일 자동 회신(아래)


Ø 이처럼 인공지능은 겉으로 드러나게 또는 드러나지 않게 기능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으며, 구글은 이번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향후 자신들의 모든 제품과 서비스에 AI를 적용해 개선시키겠다는 목표를 밝힌 것임


ž 「응용기술」 분야와 관련해서 또 하나 주목할 것은 구글이 AI를 의료 분야에 적용할 계획임을 명시했다는 것으로, 향후 IBM 및 애플과 치열한 기술 경쟁을 예고하고 있음


Ø 구글은 이미 AI를 사용하여 당뇨 망막증(Diabetic Retinopathy) 판정 시스템을 발표한 바 있는데, 이 병은 당뇨 합병 질환으로 실명 위기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정확한 판정 시스템의 개발은 질병의 조기 발견과 치료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Ø 구글에 따르면 AI는 이미 의사보다 높은 정확도로 당뇨 망막증 진환을 감지해 내는 데 성공했으며, AI를 의료 이미징에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자 구글은 자회사 딥마인드(DeepMind) 함께 의료 분야에서 AI 연구 개발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자료> Google


[그림 6] AI를 이용한 의료 이미지 판독


Ø 구글이 개발한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인 구글 인셉션(Google Inception)은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으로 평가받고 있는데, 구글은 누구나 자유롭게 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진단 및 치료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공개하고 있음


Ø 가령 구글 인셉션 소프트웨어를 피부암의 판정에 응용하면 전문의보다 정확하게 질병을 판정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별한 알고리즘이 필요하지 않아 암 탐지 시스템의 개발 문턱이 극적으로 낮아졌기 때문에 이미 피부암 판정 스마트폰 앱까지 등장하고 있는 상황


Ø IBM 왓슨의 선도적 비즈니스가 성과를 거두며 의료 분야에서 AI 활용에 대한 평가와 전망은 매우 긍정적인데, 구글과 기술 경쟁, AI 기반 의료 기술의 공개화 등 흐름과 맞물린다면, 의료 분야에서 AI 기반의 혁신 사례는 잇따라 등장할 것으로 예상됨


ž 구글은 자신들의 모든 영역에 AI를 적용하고자 하는 AI 최우선 기업으로서 그 성과를 어필했지만 이제 시작일 뿐이며, 시장 지향 AI를 향한 본격적 행보 선언에 그 의의가 있음


Ø 구글은 인공지능 퍼스트를 모토로 내세운 기업으로 그간의 연구개발 성과와 응용사례를 소개했지만, 이번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놀라운 기술과 제품은 등장하지 않았다는 평가가 지배적


Ø 구글 렌즈 등의 기능도 이미 일부 활용되고 있는 기술이고, AI를 음성 인식에 응용해 고급 자연언어처리 접목한 인공지능 스피커 '구글 홈이나 가상 비서 구글 어시스턴트도 이미 소개된 기술일뿐더러 이 분야에서는 오히려 아마존 에코와 알렉사가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상황임


Ø 이는 세계 최고 수준의 AI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구글이지만, 의료와 같은 특수 분야를 차치하고 나면 일상적으로 소비자들이 AI의 혜택을 느낄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


Ø 기술 특이점(singularity) 접근 전망과 함께 하루가 다르게 고도화되어 가고 있는 AI를 어떻게 제품과 서비스에 연결시킬 것인가에 대한 질문도 계속해서 나오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답을 내놓는 것은 구글뿐 아니라 IT 업계가 공통으로 안고 있는 과제일 것임


Ø 그러나 어쩌면 소비자의 욕구와 잠재 욕망을 자극할 수 있는 AI 기반 제품과 서비스의 개발 역시 사람이 아닌 인공지능 스스로가 만들어 낼 지도 모를 일이며, 그런 면에서 AI AI를 만든다는 모토를 제시하고 있는 구글이 접근방식에서는 유리한 상황이라 할 수 있겠음


※ 아래 글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가 발간하는 주간기술동향 1799호(2017. 6. 7 발행)에 기고한 원고입니다.


▶ IITP에서 PDF 포맷으로 퍼블리싱한 파일을 첨부합니다. 가독성이 좋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글과 소프트뱅크_VR 관련 기술 기업에 투자 가속화.pdf



ž 구글은 최근 가상현실(VR) 콘텐츠 개발 기업으로 유명한 미국의 아울케미 랩스(Owlchemy Labs)를 인수한다고 발표


Ø 아울케미 랩스는 VR 기반 직업 시뮬레이션 게임인 잡 시뮬레이터(Job Simulator)와 인기 애니메이션을 VR 게임으로 만든 Rick and Morty: Virtual Rick-ality 등으로 유명한 기업으로, 특히 잡 시뮬레이터는 여러 상을 수상하며 타이틀 매출은 300만 달러 이상을 올렸음


<자료> Owlchemy Labs


[동영상] VR 직업 체험 잡 시뮬레이터


Ø 아울케미 랩스는 2010년에 창업하였으며 직원은 23명으로 현재 HTCHTC Vive, 오큘러스 VROculus Touch, 소니의 PlayStation VR 등 다양한 가상현실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 제품용 VR 게임을 개발하고 있음


Ø 아울케미 랩스의 창업자이나 CEO인 알렉스 슈바르츠는 손을 이용한 조작에 초점을 맞추어 몰입형 경험을 제공하는데 콘텐츠 개발의 초점을 맞추고 있음


Ø 구글의 인수 발표회에는 아울케미 랩스도 참가했으나, 양측 모두 인수금액을 비롯한 자세한 인수 조건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음


ž 구글은 인수 직후 열린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구글 I/O 2017에서도 VR사업 강화 방침을 확인하며 구글의 VR 플랫폼을 탐재한 스마트폰을 올해 수천만 대로 늘리겠다고 선언


Ø 구글은 작년 11월 제품 발표회에서 자체 개발한 VR 플랫폼인 데이드림(Daydream)을 선보인 바 있는데, 현재 이 플랫폼이 적용된 스마트폰은 구글 자체 프리미엄 폰인 픽셀(Pixel) 밖에 없으나 올해 삼성전자 갤럭시 S8 시리즈를 비롯 11개 기종으로 확장한다는 계획


Ø 또한 작년 11월에는 스마트폰을 연결해 VR 콘텐츠를 즐기는 고글형 VR 헤드셋 데이드림 뷰를 선보였지만, 이번 I/O에서는 전용 디스플레이와 프로세서를 내장해 스마트폰 등 외부 기기와 연결이 필요 없는 스탠드얼론형 헤드셋을 올해 안에 출시할 계획이라 발표


<자료> Google

[그림 1] 구글의 VR 플랫폼, 데이드림 2.0


Ø 새롭게 선보일 VR 헤드셋에는 이용자의 움직임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는 월드센스(WorldSense)라는 기술이 적용되었다고 하며, 자신이 보고 있는 VR 콘텐츠를 캡처해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는 데이드림 유프라테스(Daydream Euphrates) 기술이 탑재되었다고 함


Ø 구글의 VR 단말기로 이용가능한 앱은 현재 150개를 넘어섰다고 하며, 이번 아울케미 랩스의 인수도 킬로 콘텐츠 확보 및 확장이라는 관점에서 추진된 것으로 보임


ž 한편 VR 스타트업인 영국의 임프라버블 월드(Improbable Worlds)는 소프트뱅크를 중심으로 투자자들로부터 5 200 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고 발표


Ø 특히 소프트뱅크에서는 이사 1 명을 받아 들이기로 했으며, 소프트뱅크 및 소프트뱅크의 협력사들과도 협업을 진행한다고 밝혔음


Ø 조달한 자금은 스페이셜OS(SpatialOS)라 부르는 VR 시스템 플랫폼 개발 등에 사용될 예정인데, 현재는 게임 분야가 주력이지만 앞으로는 의료와 도시 개발 등 게임 이외의 분야에서 VR로 현실세계를 시뮬레이션 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을 가속화 한다는 방침


Ø 임프라버블 월드는 작년 11월 구글과 제휴를 체결하고, 구글의 클라우드 플랫폼과 스페이셜OS를 결합하여 실제 세계를 VR로 재창조한다는 계획을 공동 발표한 바도 있음


Ø 한편 이번 임프라버블 월드에 대한 투자의 주축인 소프트뱅크는 작년 6VR 사업추진실을 신설하는 등 VR 분야 시장 개척에 주력하고 있으며, 올해 4월에는 오큘러스 리프트를 이용해 혼합현실(MR) 기반 치과 치료 지원 시스템을 선보인 바 있음


Ø 소프트뱅크가 개발한 치과 치료 지원 시스템은 영상 진단 결과라는 가상 공간과 눈앞의 실재 환자라는 현실 공간을 복합시키는 MR 기술을 활용한 것으로, 치과 의사는 오큘러스 VR(Oculus VR)오큘러스 리프트(Oculus Rift cv1)를 착용한 상태에서 환자를 치료하게 됨


<자료> Softbank

[동영상] 혼합현실 기반 치과 치료 지원 시스템


Ø 가령 HMD 화면에는 치료 전에 실시한 방사선 사진 등 영상 진단 결과와 환자의 모습이 실시간으로 겹쳐서 표시되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 잇몸 내부의 신경을 파악하며 실시간으로 치료하는 것이 가능해 짐


Ø 소프트뱅크의 이번 임프라버블 월드에 대한 투자는 의료 분야 활용에 초점을 맞춘 VR 사업 추진 전략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음


※ 아래 글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가 발간하는 주간기술동향 1799호(2017. 6. 7 발행)에 기고한 원고입니다.


▶ IITP에서 PDF 포맷으로 퍼블리싱한 파일을 첨부합니다. 가독성이 좋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딥러닝 용도로 기대 모으는 인텔 퍼시스턴트 메모리(PM).pdf



ž 인텔은 SSD 보다 빠르고, DRAM 보다는 가격 경쟁력이 있는 비휘발성 신형 메모리로 인텔 퍼시스턴트 메모리(Intel persistent memory)를 발표하고 데모를 선보였음


Ø 인텔 퍼시스턴트 메모리는 인텔과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2015년에 발표한 3D XPoint 기술을 바탕으로 한 제품으로 DIMM(여러 개의 DRAM 칩을 회로 기판 위에 탑재한 메모리 모듈) 슬롯에 삽입되어 메인 메모리로 동작함


Ø 메인 메모리의 역사를 보면 1947 RAM의 등장 이후 주기적으로 발전을 거듭해오다 1989 NAND 플래시 메모리 등장 이후에는 신형 메모리가 나오지 않았는데, 이 때문에 3D XPoint는 발표 당시 수십 년 만에 개발된 메인 메모리로 큰 관심을 모은 바 있음


Ø 퍼시스턴트 메모리(PM)DRAM과는 달리 기계의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일종으로 SSD 보다 빠르고 DRAM보다 대용량화하기 쉬운 특성을 갖추고 있는데, 인텔은 2018년을 발매 시점으로 잡고 있음


<자료> toms Hardware


[그림 1] 메인 메모리 도입의 타임라인


Ø 인텔이 자세한 사양을 밝히고 있지 않지만 만일 3D XPoint 발표 때와 동등한 수준이라면 액세스 속도는 SSD에 비해 1,000배 빠른 것이며, 이는 DRAM과 비교하면 느린 것이지만 기록 밀도는 DRAM 10배이기 때문에 DRAM보다 대용량 메모리를 탑재한 시스템을 구현하기가 쉬워짐


Ø 인텔은 SAP가 개최한 Sapphire Now 2017 행사에 참가해 대용량 메모리 공간을 만들 수 있음을 강조했는데, 메인 메모리로 192 기가바이트 DRAM 1.5 테라바이트 인텔 퍼시스턴트 메모리를 장착한 서버에서 SAP의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인 SAP HANA의 실행 데모를 선보였음


Ø 데모를 통해 처리할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DRAM과 퍼시스턴트 메모리를 구분하면 충분히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으며, DRAM만으로 구성하는 것보다 낮은 비용으로 대용량의 메모리를 탑재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음


ž 전문가들은 대규모 데이터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대용량 메모리 공간을 필요로 하는 딥러닝이 인텔 신형 메모리의 유력한 사용처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Ø 인공지능(AI) 관련 기술 중 하나인 딥러닝(Deep Learning, 심층 학습)은 대규모의 입력 데이터를 빠르게 학습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DRAM으로 대용량 메모리 시스템을 구현하면 비용이 높아지고, SSD 등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하면 데이터 액세스 성능이 너무 느려지는 문제가 있었음


Ø 그런데 인텔 퍼시스턴트 메모리를 이용한다면 DRAM SSD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비용효율적 시스템의 구성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딥러닝 용도에 적합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 것


Ø 같은 맥락에서 이 신형 메모리가 딥러닝 뿐만 아니라 기업 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는데, 현재 트랜잭션 처리용과 데이터 분석용 데이터베이스를 나누고 있는 기업정보시스템의 상식을 무너뜨릴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음


Ø 트랜잭션 처리와 데이터의 분석 요구 사항을 모두 만족시키려면 다수의 코어를 가진 프로세서와 대용량 메모리를 탑재한 서버가 필요한데, 이러한 대용량의 메모리 공간을 실현하는데 있어 DRAM보다 대용량화하기 쉬운 인텔 퍼시스턴트 메모리가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


ž 또한 퍼시스턴트 메모리의 비휘발성 특성을 잘 살리면 IoT 시대의 적합한 새로운 형태의 컴퓨터가 등장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음


Ø 일례로 평상시에는 전원을 꺼두었다가 필요할 때 전원을 넣으면 곧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노멀리 오프 컴퓨팅(Normally-Off Computing)이 가능하게 됨


Ø 전원을 끄고도 메인 메모리에 장착된 인텔 퍼시스턴트 메모리에 데이터가 유지된다면, 전원을 켜고 처리가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부팅 시간이 현재의 컴퓨터 시스템에 비해 훨씬 짧아질 것이므로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꺼두어도 필요할 때 신속히 사용하는데 별 문제가 없기 때문


Ø 특히 부팅 시간이 오래 걸리는 IoT(사물인터넷) 컴퓨팅 분야에서 노멀리 오프 컴퓨터에 대한 기대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Ø 이러한 비휘발성의 특성을 살리려면 몇 가지 넘어야 할 장벽이 있는데, 우선 OS(운영체제)나 미들웨어 등이 비휘발성 메모리를 상정한 처리가 가능해져야 함


Ø 또한 시스템을 설계하는 IT 엔지니어들도 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이해하고 어떤 데이터를 어떤 메모리에서 처리할 것인지 등을 제대로 인식하고 설계할 필요가 있음


Ø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지만, 그래도 인텔 퍼시스턴트 메모리는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 속도를 높일 수 있고, 컴퓨터의 아키텍처를 크게 바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올 한해 많은 관심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됨

※ 아래 글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가 발간하는 주간기술동향 1798호(2017. 5. 31 발행)에 기고한 원고입니다.


▶ IITP에서 PDF 포맷으로 퍼블리싱한 파일을 첨부합니다. 가독성이 좋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밀레 식기 세척기에서 IoT 보안 취약점 발견 보도 해프닝.pdf



ž 최근 IoT(사물인터넷) 기기의 보안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독일 대표가전업체 밀레(Miele)의 식기세척기에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다는 보도로 인한 해프닝이 있었음


Ø 일부 외신은 밀레의 식기 세척기에 탑재된 웹 서버의 기능에 보안 취약점이 발견된 것 같다며, 디렉토리 접근공격(Directory Traversal)을 통해 취약점이 악용되면 공개용 디렉토리 밖에 놓인 파일, 즉 공개를 허용하지 않는 파일도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게 될 위험이 있다고 보도


Ø 특히 해당 식기 세척기 모델이 병원이나 의료기관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해커들이 이 취약점을 공격하여 병원 및 의료 기관의 네트워크에 침입한 후 환자의 의료 기록 등 민감한 정보를 훔쳐갈 우려가 있다는 점이 강하게 부각되었음


<자료> Amazon


[그림 1] 보안 취약점 발견된 밀레의 소독기


Ø 이런 보도에 대해 밀레는 취약점이 발견된 것은 사실이지만 해당 장비인 PG 8528은 식기 세척기가 아니라 의료용 소독기(disinfect medical products)라고 해명하였음


Ø 또한 해당 의료용 소독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기는 하지만,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는 않기 때문에 병원·의료 기관의 네트워크 침입에 활용될 수는 없다고 반박하였음


Ø , 해당 기기가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취약점을 공격 당하면 비밀번호 등을 도난당할 우려가 있으며, 알아 내 암호를 사용하면 해당 기기의 소프트웨어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제3자가 마음대로 소독 조작을 할 가능성은 있을 수 있다고 시인하였음


Ø 밀레가 세계적인 식기 세척기의 유명 메이커이고, 이번 사건을 보도한 언론이 기사에서 식기 세척기(dishwasher)라고 명시했기 때문에 보도 직후에는 인터넷에 연결된 식기 세척기의 보안이 취약할 경우 어떤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십성 기사가 줄을 이었음


Ø 밀레의 해명 보도자료 이후 식기 세척기를 통해 홈 네트워크 상의 중요 정보가 유출된다든가 하는 위험에 대한 우려는 잠잠해졌으나, 비록 큰 사고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더라도 소독기든 세척기든 내 의사와 무관하게 누군가 조작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은 확인이 되었음


ž 비록 가십으로 끝나긴 했으나 이런 형태의 보안 위협은 IoT라는 말이 등장하기 전부터 있어 온 것이므로, 향후 IoT 기기의 확산을 위해서도 보안에 대한 대비책 마련은 반드시 필요


Ø 오래되었지만 이번 밀레 사례와 유사한 건으로 2004년 보도된 도시바의 HDD 탑재 DVD 레코더 RD 시리즈의 보안 취약성을 들 수 있는데, 이 제품은 HTTP 프록시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 암호를 설정하지 않고 인터넷에 연결할 경우 제3자의 해킹에 악용될 우려가 제기되었음


Ø 실제 이 DVD 레코더의 프록시 기능을 악용해 블로그에 코멘트 스팸 공격(광고 유도 코멘트를 대량으로 다는 공격)을 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음


Ø 2008년에는 스위스 유라의 커피 메이커 Impressa F90 모델은 별도의 인터넷 연결 키트가 있었는데 이 지점에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음


Ø 연결 키트의 취약점을 이용하면 인터넷을 통해 커피의 농도와 양, 넣는 시간 등을 제3자가 마음대로 설정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가령 옅은 커피를 좋아하는 사람이 매번 진한 커피를 먹게 되는 불쾌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


Ø 냉장고도 보안에 취약한데, 2015년 열린 세계 최대 보안 이벤트 데프콘(DEFCON)IoT 해킹 대회에서는 삼성전자의 스마트 냉장고에서 취약점이 발견되었음


Ø 이 취약점은 TLS/SSL를 지원하는 웹 서버에 접속 시 해당 인증서를 제대로 체크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공격자가 정당한 웹 서버인 척하고 통신을 중계하는 중간자 공격(Man-in-the-Middle)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


Ø 이 냉장고는 구글 캘린더에 접속한 후 냉장고의 전면 스크린에 스케줄 등을 표시해 주는 기능이 있는데, 보안 취약점을 공격하여 캘린더 정보를 위조해 보여주거나 구글 계정의 비밀번호를 훔치는 등의 일이 가능하게 됨


Ø 이 외에도 정보 가전(IoT)의 취약점은 잇따라 발견되고 있고, IoT의 용도가 확대되면 미래에는 심각한 상황이 전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개발자나 가전업체, 그리고 사용자 모두 보안 문제에 대해 심각히 인식하고 대응책을 마련해 나갈 필요가 있음

※ 아래 글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가 발간하는 주간기술동향 1798호(2017. 5. 31 발행)에 기고한 원고입니다.


▶ IITP에서 PDF 포맷으로 퍼블리싱한 파일을 첨부합니다. 가독성이 좋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인공지능 음성비서 서비스 탑재 기기 2021년 75억 대 이상 전망.pdf



ž 통신산업 시장조사기관 오범(Ovum)에 따르면 2021년 인공지능(AI) 음성인식 가상 비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의 대수는 75억 대를 넘어설 전망


Ø 오범에 따르면 음성 인식 가상 비서 서비스는 현재 주로 스마트폰과 태블릿에서 이용되고 있는데, 2016년 말 현재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하드웨어 대수는 35억 대로 추산되며, 구글의 구글 나우(Google Now)와 애플의 시리(Siri)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Ø 그러나 2021년에는 현재 세계 인구를 넘어서는 75억 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구글 어시스턴트(Google Assistant)가 점유율 23.3%로 선두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됨


Ø 그 다음으로는 삼성전자의 빅스비(Bixby)14.5%, 시리가 13.1%, 아마존의 알렉사(Alexa)3.9%,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타나(Cortana)2.3%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


Ø 기기 유형도 다양해져 향후에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 외에도 스마트홈을 중심으로 새로운 기회가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데, 가상 비서와 음성 AI를 지원하는 스마트 홈 제품, TV, 웨어러블 기기의 수는 2021 년에 16 3천만 대에 달할 것으로 추정됨


<자료> Ovum


[그림 1] 2015-2021가상 비서와 음성 AI 지원 디바이스 추이 전망


Ø 특히 현재 인공지능 스피커 제품에 쏟아지고 있는 거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비 모바일 기기 중에는 TV 기기(스마트 TV, 셋톱박스, 미디어 스트리머 등 포함) 57%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


ž 지역적 관점에서 보면, 음성 인식 가상 비서 서비스 이용은 북미 중심에서 벗어나 전 지구적 서비스로 확산될 것으로 예상됨


Ø 2016년 말 현재 아마존 알렉사와 구글의 구글 어시스턴트의 경우 북미 지역의 이용자 점유율이 95%에 이를 정도로 지역적 편중이 심한 상태이나, 2021 년에는 서비스가 전세계로 확산되고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지역이 47.6%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됨


Ø 아시아 지역에서는 당연히 중국 시장의 성장이 두드러질 것인데, 2016년 기준 중국어를 지원하는 음성 비서 서비스 제공 하드웨어 기기 대수는 4,300만 대 수준이며, 바이두(Baidu)와 아이플라이테크(iFlytek) 등의 업체가 선도하고 있음


Ø 그러나 2021년에 중국어를 지원하는 음성 비서 서비스 제공 하드웨어 수는 12억 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애플의 시리와 삼성전자의 빅스비와 비슷한 규모가 될 것으로 보임

※ 아래 글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가 발간하는 주간기술동향 1798호(2017. 5. 31 발행)에 기고한 원고입니다.


▶ IITP에서 PDF 포맷으로 퍼블리싱한 파일을 첨부합니다. 가독성이 좋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애플 비즈니스의 카테고리 변화로 본 향후 사업구조 변화 전망.pdf



[ 요 약 ]


이달 초 개최된 애플의 1~3월 사업 실적 발표회에서는 애플이 그 동안 기타 제품으로 표현했던 제품들 일부를 웨어러블 카테고리로 묶어 표현함으로써 그 배경에 궁금증을 낳았음전문가들은 이를 웨어러블 분야 사업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하고 AR(증강현실글래스와 비침습 혈당 측정 센서 개발 루머와 연결시키고 있음웨어러블 카테고리가 재규정 됨으로써 새로 기타 제품에 포함될 신제품에도 관심이 모이는데 인공지능 음성인식 기반 스마트홈이 유력할 것으로 전망됨


ž 애플의 올해 1~3월 사업실적 발표를 보면 당초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을 웃도는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이며 당분간 호조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Ø 애플의 2017 회계연도 2분기(1~3) 실적 발표에 따르면, 분기 매출은 약 529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 상승했으며 주당 순이익은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을 웃도는 2.10 달러였음


[1] 애플 2017 회계연도 2분기(1~3) 제품별 사업실적 (단위: 천대, 백만 달러)

제품 구분

2017 2Q

2017 1Q

2016 2Q

직전분기 대비

전년동기 대비

대수

매출

대수

매출

대수

매출

대수

매출

대수

매출

아이폰

50,763

33,249

78,290

54,378

51,193

32,857

-35%

-39%

-1%

1%

아이패드

8,922

3,889

13,081

5,533

10,251

4,413

-32%

-30%

-13%

-12%

4,199

5,844

5,374

7,244

4,034

5,107

-22%

-19%

4%

14%

서비스

-

7,041

-

7,172

-

5,991

-

-2%

-

18%

기타 제품

-

2,873

-

4,024

-

2,189

-

-29%

-

31%

전체

-

52,896

-

78,351

-

50,557

-

-32%

-

5%

<자료> Apple


Ø 아이폰 판매 대수는 5,080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했지만 평균판매가격(ASP) 655 달러로 높아져 매출액은 1% 증가하였음


Ø 아이폰의 실적은 신흥시장에서 판매 촉진과 선진국 시장에서 고부가 가치화라는 투 트랙 전략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둔 것이어서 앞으로도 아이폰의 매출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전망


Ø 앱스토어, 애플뮤직, 아이클라우드 스토리지 추가 등 아이폰 관련 서비스 부문은 약 70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지속했는데, 앱스토어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했으며, 월 구독형 서비스인 애플뮤직도 두자릿 수 성장을 기록하는 등 호조를 이어가고 있음


Ø 맥과 아이패드는 명암이 엇갈렸는데, 맥의 경우 판매대수가 420만 대로 4% 증가에 그쳤지만 매출액은 14% 증가한 반면, 아이패드의 공급 부족으로 인해 판매대수가 890만 대로 급격히 하락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10%, 직전 동기 대비 30%대의 매출 감소를 겪었음


ž 맥과 아이패드 사업분야 모두 라인업 단순화를 통환 내실 강화 전략으로 전환 중인데, 맥은 그 효과가 2분기에 나타난 반면 아이패드는 3분기 이후에나 판명될 것으로 보임


Ø 애플은 2016 10월에 맥북 에어 11인치 모델의 판매를 종료시켰고 그에 따라 맥북의 평균판매가격이 상승하였기 때문에, 올해 2분기에 판매대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매출액은 오히려 14%나 증가할 수 있었음


Ø 999 달러의 맥북 에어 13인치 모델이 아직 라인업에 남아 있긴 하지만, 최신 모델의 맥북이 1,299 달러부터, 맥북 프로는 1,499 달러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맥북은 신제품의 판매가 본격화될 경우 판매대수 증가 이상으로 매출액 증가가 가능한 사업 구조를 확립하였음


Ø 이와 유사하게 애플은 올해 3월 아이패드 5세대를 발표하며, 아이패드 에어2와 아이패드 미니2의 판매를 종료시켰고, 아이패드 미니4 128GB 모델만 남겨두며 라인업을 크게 정리하였는데, 맥과 마찬가지로 이런 정리의 효과가 3분기에 나타날 지 여부가 향후 관전 포인트


Ø 아이패드 5세대에서 나아진 점은 탑재 프로세서가 A9으로 격상된 것뿐이며 나머지는 오히려 아이패드 에어로 회귀한 것 같은 사양을 보이고 있는데, 특히 6.1 밀리미터였던 두께는 7.5 밀리미터에 오히려 늘어났으며, 무게도 437 그램에서 469 그램으로 30 그램 이상 늘었음


Ø 아이패드 미니4 128GB 모델의 가격은 399 달러인데, 3월부로 판매 종료된 아이패드 미니 2의 가격이 300 달러 이하였던 것을 감안하면 새로 아이패드를 구매하는 사람들에게 7.9 인치 짜리 태블릿의 가격은 100 달러 이상 큰 폭으로 인상된 셈


Ø 아이패드 사업에 있어 전략상 중요한 시장이 교육 분야인데, 교육기관의 일괄 구매에서는 무엇보다 낮은 가격이 도입의 용이성과 직결되기 때문에, 아이패드 미니의 가격 전략 변화는 오히려 사양이 낮아진 아이패드 5세대의 판매를 촉진하는 장치가 될 것으로 예상됨


Ø 교육 시장에서 아이패드는 잘 파손되지 않고 성능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평을 받고 있어 3년 이상의 내용연수를 설정하는 학교가 적지 않은데, 이런 교육 시장에서 가격이 더 저렴한 아이패드 모델을 구매한다면 가장 우선적으로 선택될 아이패드는 9.7 인치 신제품이 되기 때문.


Ø 최저 가격이 399 달러인 아이패드 미니4에 비해 가격이 더 저렴한 329 달러의 아이패드5세대는 화면이 크고 프로세서의 처리 속도도 빠르기 때문에, 교육기관에서 볼 때 보다 매력적인 제품으로 보이게 될 가능성이 높음


ž 한편 이번 결산 발표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기타 제품 카테고리로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5% 정도지만, 전년 동기 대비 31% 성장하며 기대감을 높이고 있기 때문



Ø 기타 제품에 포함되는 것은 애플TV, 애플 워치, 비츠(beats) 제품 등 아이폰과 아이패드와 결합해 사용할 수 있는 제품과 애플 혹은 써드파티 브랜드의 액세서리로, 애플은 그 동안 기타 제품에 포함되는 상품의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왔음


Ø 애플 워치는 스마트 워치 분야의 대표적인 제품으로 성장했는데, 아이폰만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말 그대로 아이폰용 액세서리로 자리잡고 있으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배 성장하였음


<자료> Austyn Meyer


[그림 1] 에어팟과 비츠 X 이어폰


Ø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 어낼리틱스에 따르면, 애플은 올해 1~3월에 350만 대의 애플워치를 출하하며 전세계 스마트워치 시장점유율 16%, 샤오미와 핏빗(Fitbit)을 근소한 차이로나마 제치고 이 분야 세계 선두업체가 되었음


Ø 아이폰7이 이어폰 잭을 없앰에 따라 무선 이어폰 제품인 에어팟(AirPods)과 비츠 브랜드 제품의 판매도 호조를 보이고 있는데, 특히 올해 상반기는 에어팟의 공급이 수요를 따라 가지 못하는 상태가 지속되고 있으며 2월에 주문하면 4월에나 받을 수 있을 정도로 공급이 부족한 상태


ž 실적 발표 후 있는 컨퍼런스 콜에서는 큰 궁금증을 남겼는데, 애플이 서로 다른 제품군에 속하는 애플워치, 에어팟, 비츠 제품 등을 웨어러블이라고 한 데 묶어 표현했기 때문


Ø 애플 워치는 웨어러블 기기 안의 스마트 워치라는 제품 카테고리에서 다루는 것이 일반적이기는 하지만, 통상 오디오 관련 제품으로 분류되는 에어팟이나 비츠 제품도 굳이 '웨어러블'로 묶은 것이기 때문에 그 배경에 큰 관심이 쏠리고 있음


Ø 이에 대해서는 두 가지 방향의 해석이 나오고 있는데, 하나는 웨어러블 기기 카테고리를 앞으로 확충시켜 아이폰 사용자 대상 마케팅을 강화하려는 의도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앞으로 기타 제품 범주 안에 웨어러블에 포함시킨 것과는 다른 제품들을 만들어 넣으려는 의도라는 것


Ø 첫번째 해석과 관련해서는 애플이 스마트 워치와 무선 이어폰 등의 제품 외에 몸에 착용하는 장치를 추가로 검토하고 있을 가능성이 거론되는데, 아직 루머 수준이지만 애플의 스마트 글래스 제품 검토 소식과 애플의 AR(증강현실)에 대한 거듭된 언급과 맥락이 맞닿아 있다는 것임


Ø 또한 최근에는 애플이 혈당 등을 측정하는 장치를 연구개발의 대상에 포함시킬 것이라는 소식도 전해지고 있는데, 이 역시 웨어러블 강화 움직임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는 해석임


Ø 두번째 해석과 관련해서는 구글이나 아마존 등 경쟁기업들이 상용화 제품을 내놓고 있거나 활발히 연구개발 중인 분야에 애플도 본격 뛰어들 계획이라는 루머들이 근거로 거론되는데, 스마트 홈이나 자율주행 자동차 등이 언급되고 있음


ž 웨어러블 제품 강화 전망과 관련해서는 최근 우연히 노출된 내부 문서 상에 AR 관련 제품의 개발을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는 언론 보도가 근거로 사용되고 있음


Ø 애플은 비밀주의로 유명한 기업이며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발표 행사 당일까지 전혀 밝히지 않을 정도로 경쟁사와 언론이 움직임을 파악하지 못하도록 애쓰고 있음


Ø 간혹 아이폰에 대한 정보가 누설되기는 하는데, 이는 연간 2억대 이상 판매되는 아이폰을 아시아의 제조 수탁업자에게 의뢰하는 과정에서 이들이 정보원이 되어 차기 제품에 대한 정보가 외부로 새거나 전달되기 때문


Ø 그런데 최근 보도된 애플의 신제품 개발에 관한 루머는 애플의 노동 재해에 관한 내부 문서가 수백 명의 회사 직원들에게 잘못 전송되면서 시작되었고, 이를 입수한 일부 언론들은 그 문서 속에 애플의 새로운 분야에 대한 기술 개발 상황을 엿볼 수 있다고 보도하였음


<자료> MacWorld


[그림 2] 애플의 AR/VR 기기 개발 루머


Ø 유출된 내부 문서는 2017 2월에서 3월 사이 애플에서 발생한 70건 이상의 사고·​​사건에 관한 기록으로, 이 기간 동안 발생한 사고는 구내 식당에서 일하는 직원이 화상을 입은 사고 등과 같이 애플의 제품 개발과는 전혀 무관한 것들이 대부분임


Ø , 그 중 2건의 사고가 이전부터 관측이 나돌고 있었던 애플의 AR 관련 제품 개발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었고, 언론은 이 부분을 포착해 집중 조명하였음


Ø 사건 하나는 어떤 시제품을 시험했던 애플의 여성 직원이 테스트 중에 레이저 섬광을 보게 된 것인데, 문서에 따르면 이 직원은 눈에 불편한 느낌이 들어 연구팀장에 그 사실을 말했고 연구팀장은 안과 의사의 진찰을 받도록 지시하고 시제품의 분석을 실시하기로 조치했다고 함


Ø 또 한 사건 역시 새로운 프로토타입을 시험하고 있던 남성 직원이 눈에 통증을 호소했다는 것인데. 프로토타입은 보안 상의 목적으로 밀봉 처리가 되어 있었지만 직원이 호기심에 뜯어본 것으로 추정되며, 이 직원은 눈의 통증과 시제품 사이에 어떤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함


Ø 내부 문서에는 이러한 프로토타입이 실제로 무엇인지는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소식통들은 애플이 비밀리에 개발하고 있는 AR 글래스형 기기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음


ž 애플이 AR 글래스형 기기를 개발하고 있다는 관측은 전부터 퍼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번 내부 문서 유출로 이러한 관측을 더욱 강화시키는 계기가 되고 있음


Ø 원래 마이크로소프트 기술 전도사로 유명한 블로거 로버트 스코블은 애플이 AR 글래스 제품의 개발을 위해 독일의 광학기기 기업 카를 차이스(Carl Zeiss)와 협력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음


Ø 또한 블룸버그 역시 2016 11월 애플이 제품화를 검토하고 있는 글래스형 기기는 무선으로 아이폰과 연결되어 사진 등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자의 시야에 표시한다고 보도한 바 있음


Ø 블룸버그에 따르면, 애플은 이미 이 제품의 개발 프로젝트와 관련해 여러 제조 수탁업체와 협의하고 있으며 그 중 한 곳에 시험 목적으로 디스플레이 부품을 주문했다고 함


Ø 최근 애플은 자신들이 설립한 10억 달러 규모 첨단 제조업 펀드(Advanced Manufacturing Fund)의 첫번째 투자처로 아이폰과 아이패드용 유리를 공급하는 코닝(Corning) 2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는데, 이번 투자는 AR 글래스까지 염두에 둔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함


ž 애플의 웨어러블 카테고리 재규정과 관련해 AR 글래스와 더불어 주목 받는 것은 애플의 생물의학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비밀 연구팀에서 혈당 측정 센서를 개발하고 있다는 루머


Ø CNBC 등 언론이 여러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애플이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제품은 생체손상이 없다는 뜻의 비침습 방식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임


Ø 빛을 피부에 투과시켜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혈액의 포도당 수준을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 생물의학팀의 연구는 애플의 극비 프로젝트의 일부이며, 보도에 따르면 스티브 잡스 시절에 착안한 아이디어라고 함


Ø 생명과학 분야에서는 비침습적 방식으로 혈당을 계속적이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지고의 목표(holy grail)로 알려져 있는데, 이를 실현하려면 수억에서 수십억 달러의 비용이 들지만 개발만 된다면 수많은 당뇨병 환자를 도울 수 있기 때문


Ø 생명과학자들은 비침습 당뇨 센서의 개발과 상용화에 굉장히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CNBC는 이 센서를 애플 워치와 통합하게 된다면 당뇨환자의 필수품이 될 것이라 전하고 있음


<자료> PSFK


[그림 3] 비침습형 혈당 측정 센서


Ø 현재도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혈당 측정기들이 많이 있지만, 혈당 측정기 자체는 침으로 손을 찔러 피를 내야 하는 방식으로, 당뇨환자들이 매번 피를 내고 혈당 측정을 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환자라는 사실을 확인하며 자존감을 상실하는 게 가장 큰 문제로 지적받고 있음


Ø 애플의 생물의학팀은 적어도 5년 전에 발족한 것으로 보이며, 이 팀은 1년 전까지 30명의 멤버가 있었지만 그 이후 애플이 추가로 인재를 채용했기 때문에 현재는 인원이 더 늘어났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함


Ø 이 프로젝트의 거점은 애플 본사 근처의 팔로알토 지역에 있는데,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의 한 의료기관에서 타당성 시험을 실시하고 있으며, 의료 분야의 규제 절차 등을 검토하는 컨설턴트도 고용해 연구팀에 포함시킨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ž 만일 웨어러블이 향후 애플의 독립적인 사업분야가 된다면, 새롭게 기타 제품 분야에 속하게 될 제품으로는 우선 자율주행차와 스마트홈이 후보로 꼽히고 있음


Ø 애플이 구글이나 아마존 등 경쟁자에 뒤질 세라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고 알려진 것은 자율운전 차량인데, 애플은 올해 4월에 미국 캘리포니아 주로부터 자율운전 차량의 도로주행 시험을 할 수 있는 라이선스를 취득하였음


Ø 시험 대상이 된 것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통합해 개조한 3대의 SUV로 차종은 ​​모두 렉서스 RX 450h모델이며, 대당 2명씩 총 6명의 오퍼레이터가 탑승해 주행 상황을 모니터링 하게 되며, 긴급 시에는 자율운전 대신 인간이 운전하는 것 등이 의무화 되어 있음


Ø 애플은 2014년에 타이탄(Titan)이라는 자동차 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 그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애플이 공식 의견을 낸 것은 2016 11월 미 교통부의 자율운전 차량에 대한 연방 정부 지침에 대해 서한을 보내 의견을 표명한 것이 전부임


Ø 이 서한에서 애플은 자신들이 기계학습과 자동화 기술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자율운전 자동차의 개발을 공식 인정한 셈이 됐지만, 애플의 타이탄 프로젝트는 이후 여러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현재 그 계획은 기로에 서 있다는 보도도 나오고 있음


<자료> Lexus Enthusiast


[그림 4] 애플의 자율주행 테스트 차량


Ø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애플의 임원은 타이탄 팀에게 2017년 말까지 시한을 두어 자율운전 시스템의 핵심 부문을 이루는 소프트웨어의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도록 지시했다고 함


Ø 이어 애플의 경영진은 당초 계획대로 자율운전 자동차를 애플이 자체 개발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만을 개발하고 이를 자동차 업체들에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진행할 것인지, 둘 중 하나를 선택해 결정하도록 요구했다고 함


Ø 캘리포니아의 자율주행 차 테스터 프로그램 참여업체 목록을 보면 애플은 30번째 참가 기업으로 자율운전 기술 개발 분야에서는 후발주자인 셈인데, 그간의 연구개발 성과 수준이 어떤지 모르지만 내부적으로 사업모델을 어떻게 가져갈 것인지에 언론은 귀추를 모으고 있음


ž 스마트홈과 관련해서는 인공지능 음성인식 기반 서비스가 주목 받는 가운데, 6월에 개최되는 애플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가 소개될 지 관심이 쏠리고 있음


Ø 애플은 6월에 전세계 애플 개발자 회의의인 WWDC 2017 컨퍼런스를 캘리포니아에서 개최하는데, 통상 소프트웨어의 최신 버전과 개발자 키트에 대해 발표하는 자리를 마련함


Ø 따라서 웨어러블이든 혹은 그 밖의 카테고리 제품이든 만약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한 장치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발표한다면 WWDC가 완벽한 타이밍이 될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음


Ø 구글, 아마존 등 라이벌 기업들은 아마존 에코구글 홈 같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스마트 홈 겨냥 오디오 장치에 주력하고 있으며, 애플의 경우 이 분야에 뛰어든다는 소식이 지금까지 없었지만, WWDC를 앞두고 시리(Siri)를 탑재한 스마트 스피커와 관련한 예측이 나오고 있음


Ø 전문가들은 아마도 아이폰용 앱 개발의 노하우를 살리면서 리모컨이 음성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Ø 현재 애플은 아이폰 앱이나 애플 워치 앱에서 사용하는 시리를 이용한 기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시리 킷(SiriKit)을 제공 중이나 배차 서비스 요청, 개인간 송금, 사진 검색 등 한정된 용도 밖에 지원하지 못하고 있는데, WWDC 2017에서 시리 킷의 기능 확장이 언급될 것으로 예상됨


<자료> Amazon


[그림 5] 카메라 탑재한 아마존 에코 룩


Ø 만일 애플 TV와 시리 기반 기기를 묶어 기타 제품 카테고리 내에 (Home)이라는 새로운 하위 카테고리를 추가한다면, 앞에서 기술한 것처럼 애플 워치나 에어팟을 웨어러블이라는 카테고리로 재규정 하려는 것은 납득할 수 있는 행보라 할 수 있음


Ø 올해 WWDC 2017 컨퍼런스는 단순히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의 발표보다는, 향후 애플이 비즈니스 영역을 어떻게 정리, 재편해서 가져갈 것인지에 대한 단초를 얻는 데 초점을 두고 지켜보면 보다 흥미 있을 것으로 예상됨

※ 아래 글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가 발간하는 주간기술동향 1797호(2017. 5. 24 발행)에 기고한 원고입니다.


▶ IITP에서 PDF 포맷으로 퍼블리싱한 파일을 첨부합니다. 가독성이 좋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비즈니스 이메일 사기(BEC) 새로운 기업 보안 위협으로 급부상.pdf



ž 매주 새로운 사이버 공격 유형이 등장하는 가운데, 비즈니스 이메일 사기(Business E-mail Compromise, BEC)가 새로운 사이버 공격 위협으로 주목받고 있음


Ø 비즈니스 이메일 사기(BEC, )는 거래처에 송금해야 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공격으로 합법적인 거래처로 가장한 이메일로 상대방을 속이고 위조한 청구서 등을 보내 송금을 유도하는 것인데, 새로운 유형이라고는 하지만 그 존재 자체는 전혀 새로운 것은 아님


Ø 공격 대상은 송금 업무를 담당하는 회계 부서 직원 등인데, 통상 업무 건당 거래 규모가 큰 대기업일 경우 만일 벡에 속게 된다면 거액의 돈을 송금하게 될 위험에 처하게 됨



<자료> FBI


[그림 1] CEO의 송금 지시를 가장한 비즈니스 이메일 사기


Ø 벡은 사기를 통해 부정한 방법으로 경제적 이익을 얻으려 한다는 점에서, 소셜 엔지니어링 기법을 통해 지인으로 가장하여 기업의 주요 정보를 빼내는 데 목적을 두는 표적 공격 이메일과는 성격을 달리함


Ø 미 연방수사국(FBI)에 따르면 벡은 2013 10월경부터 확인되기 시작했으며 그때부터 2016 6월까지 미국 인터넷 범죄 신고 센터에 신고된 벡의 사기 피해 건수는 전세계 79개국에서 22,143 건이며 피해액은 약 31억 달러에 달함


Ø 또한 지난 1 년 동안 가짜 송금 지시 메일이나 금전 사취를 목적으로 한 메일이 직원에 전달된 기업의 비율은 미국 75.2%, 싱가포르 65.6%이며, 그 중 실제로 금전적 피해를 입은 기업의 비율은 미국 60.6%, 싱가포르 37.5%에 달했다고 함


Ø 비즈니스 이메일 사기와 이메일 계정 사기(EAC)를 합한 피해금액은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전세계 131개 국에서 총 53억 달러에 달했으며, 특히 2016년은 2015년에 비해 피해금액이 23.7배가 증가해 올해 2017년은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됨


Ø 최근 일본에서는 약 28억 엔에 달하는 거액의 비자금을 돈세탁 목적으로 일본에 송금한 나이지리아인과 일본인 총 14명이 체포되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 비자금은 벡 사기를 통해 부당하기 갈취한 돈이라고 함


ž 벡은 랜섬웨어와 달리 건당 피해금액이 크다는 점에서 기업에 주는 타격이 보다 직접적인데, 평균 피해금액은 10만 달러 이상이라고 함


Ø 최근 공격이 급증하고 있는 벡은 기업과 조직을 대상으로 한 금전의 부당한 취득이 목적이라는 점에서 랜섬웨어와 유사하나, 공격 방법의 차이가 있으며 건당 피해액 규모 측면에서는 비즈니스 이메일 사기가 보다 심각함


Ø 랜섬웨어는 기업의 PC를 감염시켜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암호화하여 사용할 수 없도록 한 다음, 암호를 풀고 싶으면 몸값을 지불하라는 바이러스인데, 피해자가 그 정도 금액이라면……’이라 생각할 정도의 몸값 수준을 설정하기 때문에 과도한 금액은 요구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


Ø 반면 벡의 경우는, 특히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피해금액이 커지는데, FBI의 조사에서 총 피해금액을 피해건수로 나눠 보면 건당 피해금은 약 14만 달러가 됨


Ø 보안 솔루션 기업인 시큐어 테크놀로지의 조사에 따르면 벡으로 인한 사기 피해를 당한 기업 중 피해 금액이 10만 달러 이상인 기업의 비율이 47.8%로 거의 절반에 가까웠음


ž 비즈니스 이메일 사기가 무서운 점은 백신 소프트웨어로는 막을 수 없다는 것으로, 기업과 직원들이 스스로 벡의 가능성을 인지하고 조심해야 하는 수밖에 없음


Ø 벡은 메일로 속여 입금시킨다는 단순한 수법한 수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외견상 사이버 공격이라기 보다는 보이스 피싱에 가깝고 보아야 함



Ø 간단한 수법이라고 하지만 상대를 속이는 궁리는 매우 정교해서, 거래처로 가장하거나 자사의 경영자 또는 변호사로 행세하는 등 패턴이 다양하며, 상대방이 신뢰하도록 만들기 위해 실제 이메일 주소를 얻어 내거나 사전 정보 수집을 위해 소셜 엔지니어링을 구사하기도 함


Ø 이런 특성 때문에 그 대응 방법 마련이 매우 어렵게 되는데, 메일에 바이러스나 악성 코드가 숨겨진 파일이 첨부되어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방화벽이나 바이러스 백신 소프트웨어와 같은 기술적 대응 방식이 통하기 어려움


Ø 이는 보이스 피싱 전화가 오는 것 자체를 막기가 어려운 것과 같은 이치로, 송금 담당자 등 한사람 한사람이 이 메일이 혹시 가짜가 아닐까라고 의심해 송금 시 확인 절차를 강화하는 등의 매뉴얼 마련이 보다 효과적인 대응 수단임


Ø 그러나 보이스 피싱 사기 피해가 좀체 줄어들지 않고 상당히 신중하다고 평가 받는 사람이라도 종종 보이스 피싱에 속는 것은 다 그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


Ø 공격이 급증하고 있는 랜섬웨어나 표적 공격에 대해서도 보안 및 IT 관련 지식이 많지 않은 직원들은 무관심한 경우가 많으며 피해를 당하고 나서야 위험을 실감하는 것이 보편적 현상임


Ø 그래도 우선은 비즈니스 이메일 사기의 존재를 널리 주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기업은 지속적으로 보안 교육을 실시하고, 언론은 관심을 갖고 비중 있게 다루어 환기시키는 것이 평범하지만 효과적인 벡 대응 방안임

※ 아래 글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가 발간하는 주간기술동향 1797호(2017. 5. 24 발행)에 기고한 원고입니다.


▶ IITP에서 PDF 포맷으로 퍼블리싱한 파일을 첨부합니다. 가독성이 좋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후변화로 손실 위험 높아지는 보험회사 IoT로 위험 극복 노력.pdf



ž 기후 패턴이 변화하면서 과거의 데이터에 근거한 예측을 토대로 비즈니스를 전개하는 보험회사들이 손실을 입을 위험도가 높아지고 있음


Ø 미국의 비영리단체 케레스(Ceres) 2016 10월에 발표한 보고서 Insurer Climate Risk Disclosure Survey Report & Scorecard: 2016 Findings & Recommendations는 기후 변화에 따라 보험회사들이 사업적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음

EMBARGOED_Ceres_Insurer_Climate_Risk_Disclosure_Survey_2016.pdf


Ø 보험회사는 과거의 보상 기록에 따라 평가를 진행한 후 보험료를 설정하는데, 인간이 예측할 수 없는 기상 변화의 빈도가 점점 높아지고 날씨 패턴의 변화로 인한 피해의 정도와 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보험회사에 전대 미문의 손실을 가져올 자연 재해가 이어지고 있다는 것


Ø 허리케인 샌디(Sandy), 미주리주 조플린을 덮친 거대한 토네이도, 워싱턴 오소에서 발생한 산사태, 미국 서부의 기록적인 지진 사태 등은 과거의 데이터로는 설명이 안되며, 2016년 한 해에만 미연방 긴급사태 관리청(FEMA)에 보고된 대규모 재해가 8월말 현재 31건 이었음


Ø 보험회사는 언제나 데이터를 기반으로 움직이는 기업이었으며, 말 그대로 수백 년 동안 축적한 데이터를 이해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정을 내리는 것이 보험회사의 핵심이나, 기후 패턴이 변화하면서 과거의 데이터에 근거한 예측의 신뢰성이 점차 흔들리고 있음


Ø 보험회사는 알고리즘의 품질에 의해 수익을 올리는 대표 산업이었지만, 이제는 점차 입력 데이터가 쓰레기면 출력 결과도 쓰레기라는 말이 왜 데이터 과학의 기본 명제인지를 새삼 확인하는 위기 상황에 처하고 있음


Ø 세계 유수의 재보험 회사인 독일 뮤니크 레(Munich Re, 뮌헨 재보험)의 집계에 따르면 2016년 미국에서 자연 재해로 인한 보험회사의 지급액은 총 238억 달러로 전년도의 161억 달러에서 크게 증가하였음


Ø 내역을 보면 강한 뇌우에 의한 지급액이 140억 달러로 전체의 약 60%를 차지했으며, 그 다음으로는 홍수가 43억 달러, 태풍이 35억 달러, 폭풍 및 한파가 10억 달러, 산불·폭염·가뭄이 10억 달러를 차지하였음


ž 유엔의 지원을 받는 정부간 과학기구인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은 기후 변화가 장기적으로 자연 재해의 양상과 위험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지 시나리오로 예측하였음


Ø IPCC는 가장 확률이 높은 몇 가지 시나리오를 RCP(대표적 집중 경로)'라는 이름으로 정리했는데, 대체으로 열대 우림 지역 등 지구상의 습한 지역은 점점 다습화 되고, 건조 지역은 더욱 건조해 진다는 예측 시나리오의 핵심임


Ø 온대의 여러 지역에서는 극단적인 열파와 가뭄에 의해 농업과 임업이 곤궁해지고, 전력 발전에 사용할 수 있는 냉각수가 제한되거나 산불의 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온대의 일부 또는 열대 우림 지역에서는 호우의 가능성이 높아져 홍수의 빈도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Ø 특히 한 RCP 시나리오는 20 세기 기준으로 100년에 한 번 있을 법한 홍수의 위험에 노출될 사람들의 수가 14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맹렬한 뇌우와 열대 저기압의 빈도가 높아지고, 해수면의 상승이 바다에 접하고 있는 도시와 그 인프라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함


Ø 이는 보험회사, 특히 기업의 재산과 재해 관련 분야를 취급하는 보험회사에게 경영 위험이 점점 커지는 반면 그러한 위험을 정확하게 예측할 가능성이 점점 낮아지고 있음을 의미함


ž 이러한 위험에 대응하고 나아가 지금까지의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시키기 위해서는 보험회사들이 IoT(사물인터넷)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음


Ø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 수집 및 서비스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IoT는 보험회사에 큰 도움이 되는데, 가령 가장 기본적인 활용을 예로 들면 IoT 센서를 통해 얼어 붙은 수도관의 파열이나 누수를 감지할 경우 수도 공급을 중단하고 집 소유자에게 통지하는 것이 가능함


Ø 또는 가정 화재의 제1 원인인 헤어 드라이어에서 연기가 날 경우 욕실의 연기 감지기가 이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할 수 있을 것이며, 돌발적인 우박 및 폭풍이 진행 경로를 예측하여 해당 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차를 지붕이 있는 장소에 넣도록 경고하는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음


Ø 보험회사들은 IoT가 자신들의 비즈니스에 광범위한 파괴적 혁신이 될 수 있음을 느끼고 있는데, 경쟁사가 자신들 보다 뛰어난 데이터, 보다 지능적인 정보를 가지게 된다면 자신들보다 더 조건이 좋은 보험료를 책정할 수 있게 될 것임을 깨닫고 있음


Ø 또한 보험회사들은 자신들보다 뛰어난 방식으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구글이나 아마존 같은 IT 거물들이 보험업계에 진출해 도전하기로 결정한다면 자신들이 곤란한 입장에 처하게 될 것임을 깨닫기 시작하고 있음


Ø 그런 잠재적 경쟁의 가능성을 감안할 때 보험회사는 스마트 홈에 센서를 장착하는 고객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 이상의 사업 혁신을 단행해야 할 필요가 있음


ž 선견지명이 있는 보험회사들은 이미 IoT와 스마트 홈 기술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비즈니스 모델 전반을 점검하려 하고 있음


Ø 지금으로부터 10~15년 후면 스마트 홈이 아닐 경우 주택 보험에 가입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와 관련한 흥미로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들이 이미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가령 보험회사들은 보험 상품을 판매하지 않고 월 단위 스마트 홈 가입 서비스를 판매하고 있음


Ø 보험 상품은 이미 스마트 홈 서비스에 번들되어 있으며, 만일 고객이 일련의 스마트 홈 서비스에 가입한다면 보험회사에게는 위험도가 낮은 고객이 되는 것임


Ø 이런 류의 서비스 범위는 홈 시큐리티와 모니터링에서부터 온도 조절이나 누수의 첫 징후가 발생한 단계에서 수도관 수리업자를 파견하는 것까지 매우 넓음


Ø 앞으로는 컨시어지 유형의 서비스가 우세하게 될 것인데, 이는 데이터 접근성이 높아짐에 따라 가정에 대한 보다 전체론적 접근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며, 보험회사들은 각종 서비스를 결합하여 보다 포괄적인 패키지 상품을 구성할 수 있게 될 것임


<자료: Raconteur>


[그림 1] 점차 늘어나고 있는 스마트 홈 지원 보험회사


ž 보험회사들이 IoT를 이용한 혁신적 사업모델을 전개하려면 먼저 고객과의 관계를 공고히 해야 하는데, 핵심은 데이터의 수집과 활용 방안을 고객에게 명시하는 것임


Ø 보험회사들은 고객들에게 IoT 센서를 통해 어떤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데이터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를 명시할 필요가 있으며, 써드파티를 통해 데이터를 제공받을 경우에도 센서 업체들이 사용자 동의가 있어야만 데이터의 수집과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확히 해야 함


Ø 보험회사나 데이터 수집업체는 고객에게 어떤 반대급부를 줄 것인지 밝혀야 하는데, 가령 욕실의 화재 경보기 배터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험회사에게 전달할 경우 보험료가 몇 % 할인된다는 등의 인센티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임


Ø 집에 설치된 안전 기기들로부터 만족을 느끼는 고객이 많기 때문에, 비록 보험회사들이 고객에게 직접 스마트 홈 서비스를 판매하지 않고 단지 안전 기기를 가진 고객에게 가능한 최저의 보험료를 제시하는 것 만으로도 보험회사와 고객 모두에게 윈윈이 될 수 있음


Ø 그러나 IoT, 데이터, 디지털 관계의 시대에 보험회사는 소비자와 연결하기 위해 보다 많은 것을 할 수 있으며, 보험회사들은 보다 공격적인 행보를 취할 필요가 있음


Ø IoT기기에서 얻은 정보를 기존 데이터 서비스와 융합할 수 있다면 보험회사들은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있고, 재산상의 위험 요인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해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을 확보할 수 있게 됨


Ø 새로운 데이터 활용 방법을 통해서 고객에게 안전 관련 스코어카드를 제공하고, 집과 가족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주는 지원과 조언을 제공하게 되는 것은 보험 산업으로서도 매우 흥미로운 새로운 혁신이 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