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 글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가 발간하는 주간기술동향 1775호(2016. 12. 7 발행)에 기고한 원고입니다.
▶ IITP에서 PDF 포맷으로 퍼블리싱한 파일을 첨부합니다. 가독성이 좋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미국에서는 최근 유아를 대상으로 한 사물인터넷(IoT) 기기의 개발이 활발한데, ‘웨어리스 테크(Wearless Tech)’의 ‘코쿤 캠(Cocoon Cam)’이 대표적
<자료> Wearless Tech. [그림 1] 코쿤 캠 |
• 집이 넓은 편인 미국에서는 떨어져 있는 방의 아기가 울고 있는지를 알고 싶은 수요가 있고, 보통 아이를 많이 안아주지 않고 아주 어려서부터 자기 방에 혼자 재우는 문화가 있기 때문
• 최근에는 아이 모니터링 목적이 아니라 베이비 시터의 아동 학대를 감시하는 용도로 모니터 카메라의 수요가 늘고 있음
• 이런 모니터 카메라의 진화한 형태가 코쿤 캠인데, 이 제품의 특징은 카메라이면서 동시에 아기의 호흡과 심장 박동, 체
온이 알 수 있다는 것
• 기존의 카메라는 단지 '모습'을 볼 수 있을 뿐이었지만, 코쿤 캠은 외양뿐만 아니라 신체 상황도 알려주기 때문에 사전적으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해 줌
• 또한 아기의 피부에 웨어러블을 부착하지 않고도 호흡이나 수면 분석을 해주기 때문에, 아기의 피부에 상처가 생길 위험이 없고 전자파의 위험도 없다는 것도 장점임
• 웨어리스 테크는 코쿤 캠을 현재 200 달러에 판매하고 있음
◈ 아기를 대상으로 한 웨어러블 장치도 진화하고 있는데, 스타트업 ‘레스트 디바이스(Rest Devices)’의 ‘미모(Mimo)’가 대표적
<자료> Rest Devices. [그림 2] 레스트 디바이스의 ‘미모’ |
• 아기 침대의 시트에 센서를 넣은 ‘스마트 시트’로도 아기의 움직임을 감지 할 수 있는데, 시트 위에 그려진 패턴 모양의 센서가 아기의 움직임을 파악하며, 일정 시간 내에 움직이지 않을 경우 경고를 보냄
• 미모는 다른 IoT 제품과도 연동되는데, 학습을 통해 에어컨의 가동을 최적화하는 스마트 온도 제어기기인 ‘네스트(Nest)’와 연동은 육아의 편의성을 높여 줄 것으로 기대
• 아기가 열이 있다고 판단하면 미모는 네스트와 연계하여 에어컨의 온도를 낮추며, 이 과정을 통해 네스트는 ‘아기가 원하는 온도’를 학습하게 되는데, 웨어러블 장치를 부착한 아기가 실내 온도를 제어하는 매개가 되는 셈
• 레스트 디바이스는 미모를 현재 200 달러에 판매하고 있음
◈ 스타트업 ‘해피이스트 베이비(Happiest Baby)’가 개발한 스마트 요람 ‘스누(snoo)’는 현대적인 디자인과 함께 뛰어난 기능성으로 주목받고 있음
• 요람이다 보니 우선 아기를 부드럽게 흔들어 주는 것이 핵심 기능인데, 흔드는 방법을 여러 가지 종류에서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음
• 아기가 울 때 상황에 맞게 아기에게 소리를 들려주는 기능도 있는데, 아기를 재우려고 할 때에는 비 오는 소리, 아기가 울음을 그치지 않을 때는 태어나기 전에 엄마 뱃속에서 듣던 소리 등을 들려 주는 방식임
• 상황에 맞는 소리가 아기를 감싸게 하여, 안심하고 침착하고 조용하게 된다는 것이 제작사가 기대하는 효과임
<자료> Happiest Baby. [동영상] 스마트 요람 ‘스누’ |
• 유아용 웨어러블이나 스마트 요람은 아기의 숙면과 양호한 건강상태 유지를 지원하면서, 부모의 불안을 해소하는 동시에 육아의 스트레스도 줄여줄 것으로 기대
• 그러나 아기가 울어도 부모가 안아주지 않고, 기기의 힘을 빌려 해결하는 것이 아기의 성장과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음
• IoT는 사람과 사람 사이를 기술이 매개하여 직접적인 교환작용을 생략해 주는 것인데, 이것은 편리함을 가져다 주기는 하지만, 인간 사이의 상호작용, 특히 이 경우 부모와 아기 간의 상호작용을 줄어들게 만드는 폐해도 있지 않느냐는 지적
• 그러나 육아의 수고스러움이 줄어드는 만큼 생기는 심신의 여유를 아이에게 쏟는다면 더 좋은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결국 중요한 것은 IoT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이용자의 지혜일 것임
• 해피이스트 베이비는 현재 스마트 요람인 스누를 116 달러, 강보를 38 달러, 침대보를 24 달러에 판매하고 있음
'주간기술동향 최신ICT이슈 > 사물인터넷(I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레 식기 세척기에서 IoT 보안 취약점 발견 보도 해프닝 (0) | 2017.06.02 |
---|---|
기후 변화로 손실 위험 높아지는 보험회사, IoT로 위험 극복 노력 (0) | 2017.05.24 |
네슬레 IoT 커피 머신 발표, 고령화와 핵가족화 문제 해결 목적 (0) | 2016.09.09 |
소프트뱅크 ARM 인수, 향후 유망시장은 자율운전차용 프로세서 (0) | 2016.08.18 |
산업 인터넷에서 주목받는 GE의 소프트웨어 파워 (0) | 2016.08.18 |